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리눅스 명령어를 사용할 일이 많은데, 쓸때마다 구글링 해가며 사용해도 문제될 것은 없지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는 외우기도 할 겸 따로 정리를 해보자.
pwd
print work directory 현재 작업중인 디렉터리를 보여줌
ls
list segments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과 디렉터리를 보여줌
ls -l 파일들의 상세정보를 보여줌
ls -a 숨김 파일 표시
ls -t 최신 파일부터 표시
ls -rt 오래된 파일부터 표시
ls -F 파일을 표시할 때 파일의 타입을 나타내는 문자열 표시
ls -R 하위 디렉터리의 내용까지 표시
ls -al, ls -altF등으로 조합해서 사용 가능
cd
n cd~ 홈 디렉터리로 이동
n cd..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../../으로 한번에 이동 가능
n cd/dir 절대경로를 지정해 이동 가능
n cd- 바로 전의 디렉터리로 이동
mkdir
n 디렉터리를 만들 때 사용
n mkdir -p 디렉터리/하위디렉터리
cp
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복사할 때 사용
mv
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위치를 옮길 때 사용합니다. 혹은 이름을 변경할 때도 사용합니다.
rm
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.
cat
catenate의 약자.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
touch
빈 파일을 생성하거나 파일의 날짜와 시간을 수정할 때 사용
echo
어떤 문자열을 화면에 보여줄 때 사용합니다. echo와 리다이렉션을 사용해 파일을 생성, 추가하는 작업을 많이 합니다.
ip addr/ifconfig
접속한 리눅스의 ip정보를 알아낼 때 사용합니다.
ss
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데 사용합니다.
ss -a 모든 포트 확인
ss -t TCP포트 확인
ss -u UDP 포트 확인
ss -l LISTEN 상태 포트 확인
ss -p 프로세스 표시
ss -n 호스트, 포트, 사용자명을 숫자로 표시
TCP포트중 LISTEN 상태인 포트의 번호를 알고 싶을 때 >> ss -tln
nc
포트가 열렸는지 확인하는 명령어
which, whereis,locate
특정 명령어의 위치를 찾아줌
tail
파일의 마지막부분을 보여줌
tail -n 숫자 파일경로 >> 마지막 라인부터 숫자만큼 파일의 라인 수 보여주기
tail -c 숫자 파일경로 >> 마지막 라인부터 숫자로 지정한 바아트 수만큼 보여주기
tail -f 파일경로 >> 중단하기 전까지 지정한 파일의 마지막에 라인이 추가되면 계속 출력하기
head로 바꿔서 사용가능
'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 -2 (0) | 2024.01.17 |
---|---|
SOLID 원칙이란? (1) | 2023.12.07 |